위클리포스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위클리포스트

메뉴 리스트

  • 홈
  • 뉴스
  • 라이프
  • 자동차
  • 시사
  • IT/과학
  • 경제
  • 생활/문화
  • ...
    • 뉴스
      • IT/과학
      • 라이프
      • 생활/문화
      • 자동차
      • 정치/사회
      • 경제
      • 스포츠
      • 인사/부음
    • 라이프
      • 리뷰
      • 행사/취재
      • 트랜드/기획
      • 인터뷰/칼럼
    • 자동차
      • 시승기/리뷰
      • 행사/취재
      • 트랜드/기획
      • 인터뷰/칼럼
    • 시사/정치/사회
      • 트랜드/기획
      • 행사/취재
      • 인터뷰/칼럼
    • 생활/문화
      • 행사/취재
      • 트랜드/기획
      • 리뷰
      • 인터뷰/칼럼
    • IT/과학
      • 리뷰/벤치
      • 트랜드/기획
      • 행사/취재
      • 인터뷰/칼럼
    • 경제
      • 트랜드/기획
      • 행사/취재
      • 인터뷰/칼럼
    • e스포츠/체육
      • 리뷰
      • 트랜드/기획
      • 행사/취재
      • 인터뷰/칼럼
    • 포토

검색 레이어

위클리포스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공연

  • 뮤지컬 맘마미아, 듣는 뮤지컬이 주는 감동

    2011.09.29 by 위클리포스트

  • 뮤지컬 왕세자 실종사건(2011) “왕세자 빨리 찾아보거라”

    2011.09.27 by 위클리포스트

  • 연극 국화꽃 향기, 마음 아픈 지고지순한 순애보

    2011.09.16 by 위클리포스트

뮤지컬 맘마미아, 듣는 뮤지컬이 주는 감동

최고의 뮤지컬을 손꼽아야 한다면 맘마미아를 빼놓을 수 없다. 단순히 보는 뮤지컬이 아닌 귀로 듣고 몸으로 느끼는 재미가 쏠쏠하다. 2008년 8월에 영화로 먼저 관객을 맞았는데 전 세계 동시 개봉이란 기록에도 불구하고 그리스 영국 호주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독일 헝가리 오스트리아 핀란드 등 다수 국가에서 박스오피스 1위를 석권했다. 감초역할을 하는 오리지널 사운드트랙은 미국 빌보드 차트와 영국 음반 차트에서 사운드트랙 부문 1위를 차지하며 사랑을 받았다. 영화에서 보였던 방대한 스케일이 뮤지컬로 옮겨지면서 규모 면에서는 다소 축소됐다. 그렇지만 영화를 통해 전해졌던 진한 감동은 여전했다. 평론가 사이에서도 찬사가 끊이지 않고 있다. 구세대에게는 지난 향수를 신세대에게는 부모 세대의 인기 음악을 간접 체..

생활/문화/리뷰 2011. 9. 29. 23:29

뮤지컬 왕세자 실종사건(2011) “왕세자 빨리 찾아보거라”

뮤지컬 리뷰 ‘왕세자 실종사건’ :: “왕세자 빨리 찾아보거라” - 글: 김현동(cinetique@naver.com) + 수줍은 내관 구동과 나인 자숙 사이의 애틋한 감정 + 역으로 맞춰보는 시나리오 속에 들춰지는 궁궐안 은밀한 이야기 서울 한 복판에 공연 무대가 마련됐다. 경희궁 숭정전 앞 가설무대다. 진짜 궁에서 열리는 잘 짜인 한편의 각본이 이곳을 차지했다. 가을 기운이 머금은 바람이 부는 9월의 어느 날 뮤지컬 왕세자 실종사건은 그렇게 관객을 맞았다. 게다가 올해의 무대는 여느 때보다 특별하다. 서울시가 매년 한 팀을 선정하는 고궁 뮤지컬로 뽑히면서 지난해 두산아트센터에 이어 올해는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궁궐 안 은밀한 이야기의 배경이 경희궁으로 옮겨진 것. 가운 운치가 녹아들어 스산한 바람이 ..

생활/문화/리뷰 2011. 9. 27. 22:57

연극 국화꽃 향기, 마음 아픈 지고지순한 순애보

‘국화꽃 향기’ 하면 떠오른 이가 있으니 故 장진영이다. 영화 ‘국화꽃 향기’에서 여 주인공을 했던 그녀가 세상을 떠나던 당시의 나이는 고작 서른 일곱에 불과했다. 동시에 병마와 싸우던 모습은 그녀가 출연했던 영화와 흡사했다. 그렇기에 ‘국화꽃 향기’가 연극으로 제작되어 무대에 오른다는 소식을 접한 그 순간 든 생각은 ‘얼마나 슬플까’ 라는 것이다. 고인을 떠올리면 저절로 눈시울이 뜨거워지는 영화로 인해 연극은 시작 전부터 관객에게 손수건을 쥐라고 신호를 보낸다. 불이 꺼지고 불과 30분이 지나지 않아 주변에는 눈물을 훔치거나 훌쩍거리는 이를 보는 것이 어렵지 않다. 영화와 달리 원작 소설에 더욱 충실해진 이유로 슬픔의 농도가 진하다. 동시에 극이 종료된 이후 남는 여운도 더욱 오래간다. 그렇게 국화꽃 ..

생활/문화/리뷰 2011. 9. 16. 22:5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3 4 5 6
다음
TISTORY
위클리포스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